러시아 월드컵의 정의에 관해서 모아봤습니다.
기간으로 시작을 해야 편할 것 같네요 . 2018년 6월14일부터 7월 15일까지 정확히 한달을 기준으로 제 21회 러시아 FIFA 월드컵이 열리게 됩니다. 러시아 11개 도시에서 경기를 개최하는데 경기장은 총 12개 경기장이며, 본선 참가국 32개국이 64번의 경기를 치뤄서 16강 진출팀을 가리게 됩니다.
개막전은 2018년 6월14일에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로 시작하며 마지막 경기인 결승전은 2018년 7월 15일에 개막전과 같은 장소인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열린다고 합니다. 2018년 월드컵의 개최 후보 나라를 살펴보면 잉글랜드, 벨기에, 네덜란드, 포르투칼, 스페인, 러시아으로 총 6개 국가였으며 이중 벨기에와 네덜란드 그리고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공동으로 유치하려고 했었습니다.
2010년 12월 2일 FIFA 집행위원의 비밀투표를 실시한 결과 러시아가 개최지로 선정이 됩니다. 열리는 도시와 경기장은 모스크바에 2곳이 있고 나머지는 각 지역별로 1개의 경기장을 맡고있습니다. 러시아 월드컵의 마스코트는 러시아어로 득점자라는 뜻의 늑대 캐릭터인 '자비바카(Zabivaka)' 입니다. 2016년 10월 21일 한달동안 투표해 53%의 지지율을 얻어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투표에 참가된 인원만 백만명 정도 였다고 하네요.
월드컵의 예선전은 본선진출 티켓을 따낸 31개국가와 개최국 1개국을 합쳐 32개국이 월드컵 무대를 밟게 되는데요. 유럽국가 14국으로 가장 많으며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가 5개국이며 북미3개국이 출전하게 됩니다. 2017년 12월 1일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 궁전에서 8개조의 조추첨을 하게 됩니다.
A조 - 러시아(개최국), 이집트, 우루과이, 사우디아라비아
B조 - 스페인, 모르코, 이란, 포르투칼
C조 - 프랑스 덴마크, 페루, 호주
D조 - 아이슬란드, 크로아티아, 나이지리아, 아르헨티나
E조 - 브라질, 스위스, 코스타리카, 세르비아
F조 - 대한민국, 스웨덴 멕시코, 독일
G조 - 잉글랜드, 벨기에, 파나마, 튀니지
H조 - 일본, 세네갈, 폴란드, 콜롬비아
한국은 본선 32개국 중에서 26위로 진출하였으나, 월드컵을 남겨둔 시점에서 탈락순위 1위로 랭크 되어 버립니다. 이어서, 신태용 감독과 23명의 선수들을 찾아볼께요.
공격수(FW) - 손흥민, 김신욱, 황희찬
미드필더(MW) - 이승우, 이재성, 주세종, 정우영, 문선민, 기성용, 구자철
수비수(DF) - 박주호, 오반석, 이용, 장현수, 홍철, 정승현, 김영권, 김민우, 고요한
골기퍼(GK) - 김승규, 김진현, 조현우
F조에 속한 한국의 일정은 이렇게 됩니다.
대한민국 VS 스웨덴 - 6월 13일 오후3시 (한국시간 21시) 니즈니노브고로드 경기장
대한민국 VS 멕시코 - 6월 24일 오후6시 (하국시간 24시) 로스토프 아레나 경기장
대한민국 VS 독일 - 6월 27일 오후 5시 (한국시간 23시) 카잔 아레나 경기장
이번 월드컵부터는 역사상 최초로 비디오 판독 시스템 VAR(Video Assistant Referee)이 도입 된다고 합니다. 4명의 VAR 전담 심판이 생기며 모스크바 국제방송센터(IBC)에서 영상을 보며 그라운드의 주심과 합의 한다고 하네요. 총 4가지의 결정적인 상황에만 판정에 사용 할 수 있는데요. 골장면, 레드카드 직접퇴장, 제재 선수 정정, 패털티킥 선언 이라고 하네요.
또한 거짓판정을 내릴 수 없게 판정에 대한 리플레이를 전광판과 TV영상에 그대로 제공 된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서 코칭스태프들에게 무선 헤드셋 장비를 도입하게 되고, 기자석에서 경기보는 3명의 스태프들이 감독에게 경기 내용을 분석해서 실시간으로 전달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FIFA측에서는 메디컬 스태프(선수 부상 실시간으로 전송)와 테크니컬 스태프(그라운드를 내려다보는 영상과 골대 뒤 영상 제공)을 권유 했다고 하네요.
0 댓글